Chat GPT 업무 활용사례

생성형 ai 업무활용 후기 - 용역보고서 작성(1)

초롱초롱거북이 2024. 12. 31. 16:28

12월을 굉장히 고통스럽게 했던 용역보고서 초안 작업을 1차로 마무리하였습니다.
300페이지 가량의 보고서에서 150페이지 가량을 혼자 작업해야 했기에, 생성형 AI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았습니다.

 chat-GPT 4o만을 활용하였고, 무척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지만  덕분에 gpt활용 기량은 꽤 올라간게 느껴집니다.

회사 보안정책과 상충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프롬프트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소송 작업의 경우 생성형 AI에 소송자료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회사 보안정책에 위반될 소지가 커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부담스럽지만, 법률 용역보고서의 경우 공개된 자료인 법률을 기초로 한 연구자료를 작성하는 작업이므로, 고객 정보를 생성형 AI에 입력하는 이슈가 덜하기에 상대적으로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여지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보안 이슈상 고객이 직접 제공한 자료 등을 직접 input으로 입력하는 것은 다소 이슈가 있어, 공개된 자료의 summary 등을 위주로 도움을 받았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주로 많은 도움을 받은 프롬프트 몇 개를 소개해보도록 합니다.


1. 조항 추출(extraction)
정관/계약서의 조항 중에서 제가 작성한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내용을 모두 추출하는 취지의 내용입니다.

현재 느끼기로는 번역과 함께 정확도를 거의 99% 신뢰할 수 있는 가장 활용가능성이 높은 사용방식인 것 같습니다.

상장회사의 정관을 다수 보고 분석해야 하는 연구용역이었기에 해당 기능을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하였습니다.

[정관 내용 입력(Ctrl+A를 이용하여 복사)]

위 정관 내용을 기초로 작업을 요청할거야

--------------enter-------------------

[보고서 본문 내용]

위에 입력한 보고서 내용과 관련 있는 정관 조항을 모두 추출해줘

 

위에서 정관 내용을 미리 입력해두었고, 해당 정관의 내용 안에서만 해당하는 내용을 추출하도록 명령을 하였기 때문에, 환각효과로 엉뚱한 답변을 출력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더블체크 과정에서 엉뚱한 조항을 추출하거나, 입력한 정관에 없는 내용을 추출하는 사례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시간관계상 누락한 조항이 있는지에 대한 더블체크는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2. 요약(summary)

전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약기능입니다. 마찬가지로 기존에 작성한 문단을 바탕으로 summary를 요청하기에, 엉뚱한 답변을 낼 가능성은 상당히 적습니다. Chat GPT 4-o 기준으로 약 50페이지가 넘는 본문 내용도 질문 하나에 한번에 붙여넣기가 가능하므로, 상당한 분량의 텍스트에 대한 요청 작업을 하나의 프롬프트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기존 작성한 문단]

위 문단을 기초로 작업을 요청할거야

--------------enter-------------------

해당 내용의 아래에 들어갈 추가 문단을 작성해줘. 2문단으로 구성하고 첫번째 문단은 "그러나 ~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취지" 2번 문단은 앞의 내용들을 요약한 소결론 문단으로 작성해 줘

 

summary의 경우는 위 extraction과 달리 본문의 내용을 그대로 추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요약된 내용을 보면서 지속적인 수정을 가해야 원하는 내용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수정사항은 1. 2. 3. 식으로 넘버링을 하면서 작성하고 있습니다.

1. 1번 문단에는 비상장회사와 달리 상장회사의 경우에 본 제도의 활용도가 더 높다는 점을 추가해줘
2. 2번 문단은 비상근 이사가 상근 이사보다 더 거버넌스 측면에서 우월하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비상근 이사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반대로 결론을 내줘
3. 1,2번 문단의 내용을 종합한 문단을 3번 문단으로 추가해줘
4. 전체적으로 "합니다" 체로 되어 있는데 "한다" 문체로 바꿔줘

 
3. 이미지 > 텍스트화(ocr)
chat-GPT 4o 자체에서는 pdf 파일 업로드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GPTs의 추가 도움을 받아야 pdf 파일 업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미지 파일은 이러한 도움 없이도 업로드가 가능한데, 수집한 상장회사 정관들이 상당수 pdf 파일로 되어 있었고, 전체가 아니라 일부 조항을 텍스트로 바꾸어 인용해야 할 때에 ocr 기능을 유용하게 썼습니다. 캡처는 마이크로소프트 기본 어플인 "캡처 도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기본 어플 캡처도구 사용법]

https://www.3rabbitz.com/blog_ko/129ef076025ff047

 

쓰리래빗츠 블로그

 

www.3rabbitz.com

 

아래와 같은 간단한 프롬프트로 ocr 작업을 상당히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ocr된 텍스트는 ctrl+C, ctrl+V와 워드 내 텍스트만 붙여넣기 기능을 통해 빠르게 붙여넣어 줍니다.

[캡처 이미지 업로드]

위 내용을 텍스트로 바꿔줘

 

3-1. 이미지 기반 summary

 

그리고 추가로 2와 3을 결합한 실제 활용사례입니다. 요약하고 싶은 보고서 본문을 캡처하여 업로드하고 해당 부분의 요약을 부탁합니다.

 


금번 용역보고서 작업에는 전체 워드 파일의 초안 작성을 chat-GPT를 통해서 작성하지는 않았습니다. 기본적인 내용들을 학습시킨 후에, 목차와 적절한 분량을 제공하면 용역보고서의 초안을 빠르게 딸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 기회가 있으면 시도해보고자 합니다.